1. 통신방식이 중요한 이유
통신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송신기와 수신기와 채널이 필요하다.
채널은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통로를 의미하고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설치됨.
하나의 채널에 두개의 장치가 동시에 송신을 할 경우에는 충돌이 발생하여 통신 불가.
2. 통신방식 종류
충돌을 막기 위해서는 3가지 방법이 있다.
1. 한 방향으로만 통신하는 방법 → 단방향 방식
2.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분리하여 전송하는 방법 → 반이중 방식
3. 선을 두개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전송하는 방법 → 전이중 방식
1) 단방향(Simplex) 방식
정보의 전송이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 방식이다.
송신측은 송신만 담당하고, 수신측은 수신만 담당함.
2) 반이중(Half-Duplex) 방식
정보의 전송이 양 방향으로 이루어지나, 한쪽이 송신하는 동안은 다른 쪽이 송신하지 못하는 방식
전송 방향을 바꾸기 위한 전송 반전 시간(Turn Around Time)이 필요함.
전송 데이터가 적을 때 용이함.
3) 전이중(Full-Duplex) 방식
정보의 전송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양쪽 모두 동시에 송신이 가능한 방식
전송 효율이 가장 우수.
전송 데이터가 많을 때 용이.
유선인 경우 4선 식으로 구성.
'자격증 > 정보통신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통신기사] 변조의 정의, 변조를 하는 이유, 변조의 종류 (0) | 2020.07.01 |
---|
댓글